23.12.24 삭제예정/리눅스 7

vi 편집이거만 알면 된다.

다음과 같이 맨위에서 작은 상자 모양이 깜빡이는 곳이 커서의 현재위치이다. 마지막행은 무슨일이 벌어졌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일종의 알림 메세지이다. (여기서는 파일을 새로 열었다라는 메세지이다.) 맨 위와 아래를 제외한 나머지 행들은 전부 탈드(~)가 채우고 있는데, 아직은 입력된 텍스트가 없다는 의미이다. vi에는 두가지 동작모드가 있다는 것을 알면된다. 명령모드, 입력모드 두가지가 존재를 한다. vi 에디터는 항상 명령모드에서 사용을 한다. 따라서 텍스트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려면 하려는 일을 vi에게 알려주기 위해 문자 한두 개와 숫자(옵션)로 구성되는 명령부터 내려야 한다.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RHEL나 페도라 등 리눅스 배포판에서 일반 사용자는 vi 명령을 실행해도 vim이 실행이 된다. ..

리눅스 의존성문제

리눅스 rpm와 yum의 차이점 RPM이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서,. windows setup.exe와 비슷한 설치파일의 의미 이러한 설치 파일의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른다.Redhat 계열인 CentOS, Redhat, Fedora 등이 존재 이와 같은 계열들은 모두다 rpm 호환이 됩니다. 다른 리눅스운영체제에서는 먹힐수도 있지만 거의 안됨 ★★★ 자주 쓰이는 rpm의 사용방법 설치 rpm -Uvh *.rpmU: 파일을 설치하되, 설치되어 있는 파일은 업그레이드 한다.v: 설치과정을 확인한다.h: 설치 진행과정을 "#" 마크로 화면에 출력해준다. ★★★ YUM- 편리한 패키지 설치rpm 명령에는 의존성 문제가 있다. 웹 브라우저인 Firefox X-W..

파이프로 명령 연결하기

★★★ 파이프 메타문자는 한 명령의 출력을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이어준다. 즉, 어떤 명령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면 이 결과가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etc/passwd 파일의 내용물이 출력되는데, 출력 방향은 화면이 아니라 sort 명령이다. sort 명령은 /etc/passwd 파일에 각 행을 시작하는 사용자명을 받아, 이를 알파벳 순으로 정렬한다. ★★★ 순차명령 때로는 여러 명령을 하나씩 실행하기도 한다. 어떤 명령이 일을 끝내면 다음 명령이 이어서 실행되는 것이다. date; troff -me verylargedocument | lpr ; date 매우 큰 문서에 서식을 적용해야 하는데 문서가 크다보니 시간이 꽤 소요가 된다. 그래서 첫 번째 명령으로 서식 작업이 시작하기 ..

● 커맨드라인에서 텍스트를 자르고 붙여넣기 위한 키

● 커맨드라인에서 텍스트를 자르고 붙여넣기 위한 키 키입력 전체이름 의미Ctrl+K Cut end of line 행 끝까지 텍스트를 잘라낸다.Ctrl+U Cut beginning of line 행 처음까지 텍스트를 잘라낸다.Ctrl+W Cut previous word 커서의 왼쪽 단어를 잘라낸다. ● 커맨드라인에서 텍스트를 자르고 붙여넣기 위한 키(계속) 키입력 전체이름 의미Alt +D Cut next word 커서의 오른쪽 단어를 잘라낸다.Ctrl+Y Paste recent text 가장 최근에 잘라낸 텍스트를 붙여넣는다.Alt+Y Paste earlier text 이전에 잘라낸 단어를 하나씩 되짚어가며 붙여넣는다.Ctrl+C Delete whole line 행 전체를 삭제한다.

● 커맨드라인을 헤집고 다닐 키

● 커맨드라인을 헤집고 다닐 키 키 입력 전체이름 의미 ctrl + F Character forward 한 문자 오른쪽으로 이동을 한다.ctrl + B Character backward 한 문자 왼쪽으로 이동을 한다.Alt + F Word forward 한 단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Alt + B Word backward 한 단어 왼쪽으로 이동한다.Ctrl + A Beginning of line 현재 행에서 맨 앞으로 이동한다.Ctrl + L Clear screen 화면을 지우고 화면의 맨 위에 한 행만 남겨 둔다. ● 커맨드라인 편집용 키 키 입력 전체이름 의미 Ctrl + D Delete current 현재 문자를 삭제한다.백스페이스 Delete previous 이전 문자를 삭제한다.Ctrl + T T..

리눅스 UMASK에 대해서

★ UMASK에 대해서 umask- 권한을 설정할 때 수동적으로 권한을 주지 않고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생성됨과 동시에 지정된 권한이 주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umask라고 한다. 최초의 umask 값은 0022로 설정이 되어있다. 이처럼 허가원이 몇이냐에 따라 umask의 값이 달라지도록 Linux상에서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umask값에 따라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허가권이 달라지도록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umask 값은 어떤 방식으로 달라지는가? 파일의 Permission(허가권)의 값은 최대 666이고, 디렉터리의 Permission 값은 최대 777이다. 여기서 umask값을 뺀 값이 해당 파일의 허가권(Permission)이 되는 것이다.예를 들어 a라는 파일이 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