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로긴에 대하여
r로 시작하는 명령중에 대표적인 명령어 rsh 및 rlogin이 있다. 이 명령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에 /etc/hosts.equiv 라는 파일과 .rhosts라는 파일을 참조하여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rsh과 rlogin은 리눅스에서 inetd(커널 2.4대일 경우에는 xlnetd)라는 슈퍼데몬이 관리하므로 사용하려면 /etc/inetd.conf(커널 2.4대인 경우에는 /etc/xinetd/rlogin등)파일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활성화시켜야 한다. 리눅스에서 rlogin 등 r-command 계열의 사용이 보안상 취약점으로 인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ㅏ 로그인하기 위한 설정이나 rhosts파일 생성시에 더욱 더 주의를 하도록 되어 있고, 초기에 설정하던 방법들이 적용이 잘 안된다.
2. rlogin
(1) 설명: remote login의 약어로 호스트에 원격으로 로그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원격으로 접속할 원격지에는 .rhosts파일 또는 /etc/hosts.equiv 파일에 호스트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2) 사용법
rlogin [option] host
(3) option
-ㅣ 계정을 미리 지정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현재 이 옵션이 지원되지 않는다.
(4) 사용에
1) rlogin www.aaa.co.kr==> www.aaa.co.kr으로 접속을 한다.
2) rlogin -l posein www.aaa.co.kr==> www.aaa.co.kr로 접속을 시도할때 aaa.co.kr의 posein이라는 계정을 가지고 있다.